기자조선(箕子朝鮮)의 왕통
출처 : 위키백과
| 대수 | 시호 및 묘호 | 이름 | 재위기간(기원전) | 
| 1 | 태조문성왕(太祖文聖王) | 자서여(子胥餘) 또는 자수유(子須臾) | 1126~1082 | 
| 2 | 장혜왕(莊惠王) | 자송(子松) | 1082~1057 | 
| 3 | 경효왕(敬孝王) | 자순(子詢 또는 子洵) | 1057~1030 | 
| 4 | 공정왕(恭貞王) | 자백(子伯) | 1030~1000 | 
| 5 | 문무왕(文武王) | 자춘(子椿) | 1000~972 | 
| 6 | 태원왕(太原王) | 자예(子禮) | 972~968 | 
| 7 | 경창왕(景昌王) | 자장(子莊) | 968~957 | 
| 8 | 흥평왕(興平王) | 자착(子捉) | 957~943 | 
| 9 | 철위왕(哲威王) | 자조(子調) | 943~925 | 
| 10 | 선혜왕(宣惠王) | 자색(子索) | 925~896 | 
| 11 | 의양왕(誼襄王) | 자사(子師) | 896~843 | 
| 12 | 문혜왕(文惠王) | 자염(子炎) | 843~793 | 
| 13 | 성덕왕(盛德王) | 자월(子越) | 793~778 | 
| 14 | 도회왕(悼懷王) | 자직(子職) | 778~776 | 
| 15 | 문열왕(文烈王) | 자우(子優) | 776~761 | 
| 16 | 창국왕(昌國王) | 자목(子睦) | 761~748 | 
| 17 | 무성왕(武成王) | 자평(子平) | 748~722 | 
| 18 | 정경왕(貞敬王) | 자궐(子闕) | 722~703 | 
| 19 | 낙성왕(樂成王) | 자회(子懷) | 703~675 | 
| 20 | 효종왕(孝宗王) | 자존(子存) | 675~658 | 
| 21 | 천로왕(天老王) | 자효(子孝) | 658~634 | 
| 22 | 수도왕(修道王) | 자립(子立) 또는 자양(子襄) | 634~615 | 
| 23 | 휘양왕(徽襄王) | 자통(子通) 또는 자이(子邇) | 615~594 | 
| 24 | 봉일왕(奉日王) | 자참(子參) | 594~578 | 
| 25 | 덕창왕(德昌王) | 자근(子僅) | 578~560 | 
| 26 | 수성왕(壽聖王) | 자삭(子朔) 또는 자상(子翔) | 560~519 | 
| 27 | 영걸왕(英傑王) | 자려(子藜) | 519~503 | 
| 28 | 일민왕(逸民王) | 자강(子岡 또는 子崗) | 503~486 | 
| 29 | 제세왕(濟世王) | 자혼(子混) 또는 자곤(子緄) | 486~465 | 
| 30 | 청국왕(淸國王) | 자벽(子壁) | 465~432 | 
| 31 | 도국왕(導國王) | 자징(子澄) | 432~413 | 
| 32 | 혁성왕(赫聖王) | 자즐(子騭) | 413~385 | 
| 33 | 화라왕(和羅王) | 자위(子謂) 또는 자습(子謵) | 385~369 | 
| 34 | 설문왕(說文王) | 자하(子賀) | 369~361 | 
| 35 | 경순왕(慶順王) | 자화(子華) 또는 자췌(子萃) | 361~342 | 
| 36 | 가덕왕(嘉德王) | 자후(子詡) | 342~315 | 
| 37 | 삼로왕(三老王) | 자욱(子煜) 또는 자오(子𤉇) | 315~290 | 
| 38 | 현문왕(顯文王) | 자석(子釋) | 290~251 | 
| 39 | 장평왕(章平王) | 자윤(子潤) | 251~232 | 
| 40 | 종통왕(宗統王) | 자부(子否) 또는 자비(子丕) 또는 자휼(子恤) | 232~220 | 
| 41 | 애왕(哀王) | 자준(子準) | 220~195 | 
참고문헌
안정복의 《동사강목》(東史綱目)
이덕무의 《앙엽기》(盎葉記) - 국가지식포털 한국고전번역원 - 기자조선 계보
이만운의 《기년아람》(紀年兒覽) - 권5 기자조선
청주 한씨 중앙종친회 기자조선 왕위 계보
기원전 194년 이후 위만조선(衛滿朝鮮)으로 넘어간다.
1대 태조문성왕이 상나라에서 넘어온 기자라고 함..
물론, 위 연대는 확실한 고증은 되어있지 않다.